JavaScript에서 성능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입니다.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코드의 실행 시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. performance.now()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반환하며, 밀리초 단위로 정밀도가 높습니다.
예제
// 성능 측정 시작
var startTime = performance.now();
// 측정하려는 작업(함수실행)
function()
// 성능 측정 종료
var endTime = performance.now();
// 실행 시간 계산 (밀리초 단위)
var duration = endTime - startTime;
console.log("작업 소요 시간: " + duration + "밀리초");
위 예제에서는 performance.now() 를 사용하여 작업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측정하고, 두 시간을 차이를 계산하여 작업의 실행 시간을 얻습니다.
duration 변수에는 작업에 소요된 시간이 밀리초 단위로 저장됩니다.
마지막으로, console.log()를 사용하여 실행 시간을 출력합니다.
주의할 점은 performance.now()가 브라우저 환경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것입니다.
이 코드를 브라우저 외부에서 실행하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.
회사에서 코드 리팩토링을 하다가 내 방식이 더 빠른게 맞는지 의문이 들었다.
그래서 객관적인 실행 속도를 비교하기 위해 performance.now()로 시간을 측정해봤고
그 결과 내가 한 로직이 0.4ms 더 빨라 고민없이 리팩토링을 진행하였다.
특정 범위를 검색해야 하는 상황
[기존 코드] 13.70000mx
전체 데이터에서 x축 한번 filter 후, 다시 y축 한번 filter로 처리
-> 시간,공간 복잡도가 두배? 암튼 더 성능적으로 안좋음!
[리팩코링 코드] 9.20000ms
filter를 할때 x,y축을 동시에 검증하여 한번에 처
'프론트엔드 >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바운스,쓰로틀 (0) | 2024.06.12 |
---|---|
URLSearchParams (0) | 2023.10.31 |
spread문법 , rest파라미터 , arguments의 차이 (0) | 2023.07.25 |
parseInt, parseFloat, Math.floor 에 대해 (0) | 2023.07.22 |
History api (0) | 2023.07.02 |